통합공공임대주택 평면도 및 구조 총정리
2020년 이후 LH(한국토지주택공사)를 중심으로 공급되고 있는 통합공공임대주택은 기존의 영구임대, 국민임대, 행복주택 등을 하나로 통합한 주거 복지형 임대주택입니다. 다양한 평형과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1인 가구부터 다자녀 가구까지 선택의 폭이 넓은 것이 특징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통합공공임대주택의 대표적인 평면도와 구조 특징을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통합공공임대주택이란?
통합공공임대주택은 기존 임대 유형의 복잡한 구분을 없애고, 소득·자산 기준에 따라 입주 자격을 설정해 누구나 형편에 맞게 입주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택입니다. 임대료는 시세의 30~80% 수준이며, 최장 30년까지 안정적인 거주가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 제도 자세히 보기: LH공사 공식 홈페이지
공급 면적별 주요 평면도
1. 26㎡형 (1인 가구용)
- 방 1 + 욕실 1 + 주방 겸 거실
- 원룸 형태, 신혼부부·청년 선호
- 작지만 수납공간 확보 및 독립성 중시 설계
👉 예시 보기: LH 청년주택 설계 예시
2. 36㎡형 (1~2인 가구)
- 방 1 + 거실 + 주방 + 욕실
- 거실과 침실 분리된 구조
- 소형 가구를 위한 최적 평면
3. 44㎡형 (2~3인 가구)
- 방 2 + 거실 + 주방 + 욕실
- 아이 한 명 있는 부부 가구 적합
- 기존 국민임대주택 대표 평면도와 유사
4. 59㎡형 (3~4인 가구)
- 방 3 + 거실 + 주방 + 욕실
- 실용적인 3베이 구조
- 발코니 확장 가능 구조로 개방감 우수
👉 59㎡ 평면도 예시 다운로드: 마이홈 포털
5. 74㎡형 이상 (다자녀 가구 중심)
- 방 3~4개 + 화장실 2개
- 4인 이상 대가족에 적합
- 수납 강화, 독립된 방 구조 확보
공통 구조 특징
- 전면 채광 위주 배치, 실내 조도 확보
- 다용도실, 신발장, 붙박이장 등 수납공간 기본 제공
- 장애인·고령자 고려한 무장애(Barrier-Free) 설계
- 에너지 절약형 설비 및 고효율 창호 적용
평면도 확인 방법
- LH 청약센터 접속: apply.lh.or.kr
- 공고문 선택 후 ‘평면도’ 첨부파일 확인
- 또는 입주자 모집공고에서 ‘주택유형별 도면’ 항목 참고
주의사항 및 팁
- 동일 면적이라도 단지별 구조 상이할 수 있음
- 장애인, 고령자용 특별설계 동·호수가 별도로 지정됨
- 발코니 확장 여부에 따라 실사용 면적 달라질 수 있음
- 모의청약 또는 견본주택 VR 투어 활용 추천
👉 모의청약 해보기: 내집마련 마이홈
마무리
통합공공임대주택은 다양한 주거 수요를 반영해 설계된 만큼, 평면도와 구조를 잘 확인한 뒤 본인 상황에 맞는 평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입주 전 공고문을 통해 제공되는 상세 평면도 파일을 꼼꼼히 확인하고, 여건에 맞는 주택을 합리적으로 선택해보세요.
실제 입주 후기와 도면 비교 자료는 LH 입주자 커뮤니티, 뽐뿌 부동산포럼 등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지원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공공임대주택 대출 조건 및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5.04.16 |
---|---|
통합공공임대주택 거주기간 총정리 (0) | 2025.04.16 |
통합공공임대주택 청약통장 조건 및 활용법 총정리 (0) | 2025.04.16 |
통합공공임대주택 자격 총정리 (0) | 2025.04.16 |
K-희망사다리 대학생 주거지원 총정리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