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지원사업

통신중계서비스 제공: 개념, 종류 및 신청 방법

by 파워퍼플블로거 2025. 2. 13.

1. 통신중계서비스란?

 

 

통신중계서비스는 **청각·언어 장애인**이 전화통화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수어, 문자, 영상 등의 방법을 통해 중계하는 서비스**입니다.

즉, 장애인이 통화 상대방과 직접 의사소통하기 어려운 경우, **중계사가 통역을 제공**하여 원활한 대화가 가능하도록 돕는 서비스입니다.

2. 통신중계서비스의 필요성

 

 

청각 또는 언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인 음성통화 이용이 어려워 **일상생활, 업무, 긴급 상황 대응 등에 불편함**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통신사들은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통신중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통신중계서비스 종류

 

 

통신중계서비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며, 대표적인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비스 유형 설명
문자 중계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면 중계사가 이를 상대방에게 음성으로 전달하고, 상대방의 응답을 다시 문자로 변환하여 제공
수어(수화) 중계 영상통화를 통해 수어 통역사가 실시간으로 상대방과의 대화를 중계
영상통화 중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이용해 영상통화로 의사소통 지원
음성-문자 변환 음성을 실시간으로 문자로 변환하여 제공

사용자는 자신의 편의에 따라 적절한 중계서비스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4. 통신중계서비스 제공 기관

우리나라에서는 **국가 및 민간 기관**에서 통신중계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한국정보화진흥원(NIA): 국가가 운영하는 대표적인 통신중계서비스 제공 기관
  • 이동통신사(KT, SKT, LGU+): 장애인 대상 통신요금 할인과 함께 통신중계서비스 제공
  • 사회복지기관 및 비영리 단체: 청각·언어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지원 서비스 운영

 

 

공식 기관을 통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며, 일부 서비스는 **24시간 무료 지원**됩니다.

5. 통신중계서비스 신청 방법

통신중계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다음 절차를 따릅니다.

  1. 이용 가능 여부 확인: 거주 지역의 통신중계서비스 제공 기관 확인
  2. 신청서 제출: 공식 기관(한국정보화진흥원, 통신사 등) 홈페이지에서 신청
  3. 이용자 등록: 장애인 증명서 제출 후 서비스 이용 승인
  4. 앱 또는 웹사이트 이용: 통신중계 전용 앱 또는 웹사이트에서 서비스 이용 가능

대표적인 신청 사이트:

 

 

6. 통신중계서비스 이용 시 유의사항

 

 

  • 서비스 이용 전 **지원되는 중계 방식(문자, 수어, 영상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 일부 통신사의 경우 **별도의 요금제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 긴급 상황 시 119 또는 112에서 별도의 중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적절한 통신중계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결론

 

 

통신중계서비스는 청각·언어 장애인이 **더욱 원활하게 사회와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서비스입니다.

문자, 수어, 영상통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며, **정부 및 민간 기관에서 무료로 지원**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해당 서비스가 필요하다면 **지금 바로 신청하여 편리한 통신 생활을 누려보세요!**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댓글로 질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