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륜차 정기검사 과태료 기준 및 납부 방법 안내

by 파워퍼플블로거 2025. 5. 16.

이륜차 정기검사 과태료 기준 및 납부 방법 안내

오토바이, 스쿠터 등 일정 배기량 이상의 이륜차는 자동차처럼 정기검사 대상에 포함됩니다. 하지만 이를 놓치고 기한을 초과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되며, 경우에 따라 추가적인 행정 제재가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륜차 정기검사 미이행 시 과태료 기준, 납부 방법, 예외 상황 등을 정리해드립니다.

이륜차 정기검사란?

배기량이 260cc를 초과하는 이륜자동차는 도로교통법과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일정 주기로 정기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검사 항목에는 배출가스, 제동 장치, 조향 상태 등이 포함되며, 해당 차량이 안전하게 운행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절차입니다.

👉 검사 대상 확인: 교통안전공단 이륜차 검사안내 페이지

정기검사 미이행 시 과태료 기준

1. 기본 과태료 금액

  • 기한 초과 후 30일 이내: 2만 원
  • 31일 ~ 60일 초과: 3만 원
  • 61일 초과 시: 4만 원 (최대)

2. 추가 행정처분

  • 검사 미이행 상태 지속 시, 운행 정지 명령 및 번호판 영치 대상
  • 지자체별로 예고 없이 단속 가능

검사 시기 및 주기

  • 신규 등록 후 2년 이내: 최초 정기검사 면제
  • 그 이후부터: 매 2년 주기로 정기검사 필요
  • 검사 유효기간은 등록증 또는 교통안전공단 조회로 확인 가능

과태료 납부 방법

  • 지자체에서 고지서 발송 → 은행, 위택스, 인터넷지로 등에서 납부 가능
  • 납부기한 내 미납 시, 가산금 및 강제 징수 절차로 전환됨
  • 위택스 바로가기

예외 및 유의사항

  • 폐차, 수출, 말소 등으로 운행하지 않는 차량: 사전에 등록 말소 처리 필수
  • 검사 유예 신청: 장기 입원, 해외 체류 등 불가피한 경우 유예 가능
  • 검사 결과 ‘불합격’ 시에는 보완 후 재검을 받아야 과태료 면제 가능

정기검사 예약 방법

마무리

이륜차 정기검사는 단순한 행정 절차를 넘어 운전자와 타인의 안전, 대기환경 보호까지 연결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정해진 기간 내 검사만 받아도 불필요한 과태료를 피할 수 있으며, 차량 상태를 점검하는 기회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검사 일정을 놓치지 않도록 차량 등록증을 수시로 확인하고, SMS 알림 신청도 함께 해두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참고 링크:
👉 자동차 검사 예약하기 (TS)
👉 위택스 지방세 과태료 납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