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지원사업

사업장 4대 사회보험료 완벽 정리

by 파워퍼플블로거 2025. 3. 10.

사업장에서 반드시 부담해야 하는 4대 사회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입니다. 사업주는 이를 적절히 납부해야 하며, 각각의 보험료 부담 비율이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4대 보험의 역할과 사업주의 부담 비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4대 사회보험이란?

4대 사회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주의 부담을 통해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는 제도입니다. 각각의 보험은 목적이 다르며, 가입 대상과 부담 비율이 법적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2.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근로자의 노후 대비를 위한 연금 제도로,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소득이 있는 사람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 보험료율: 기준소득월액의 9%
  • 사업장 부담 비율: 4.5%
  • 근로자 부담 비율: 4.5%

3. 건강보험

건강보험은 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보험입니다.

  • 보험료율: 보수월액의 약 7.09% (2024년 기준)
  • 사업장 부담 비율: 3.545%
  • 근로자 부담 비율: 3.545%

또한, 건강보험에는 **장기요양보험료**가 추가로 부과됩니다.

  • 장기요양보험료율: 건강보험료의 12.81%
  • 사업장 부담 비율: 50%
  • 근로자 부담 비율: 50%

4. 고용보험

고용보험은 실업 시 실업급여를 지급하고, 직업 훈련 및 재취업을 지원하는 보험입니다.

  • 보험료율: 근로자와 사업장 규모에 따라 다름 (1.55%~2.65%)
  • 사업장 부담 비율: 0.9% ~ 1.75%
  • 근로자 부담 비율: 0.65% ~ 0.9%

사업주는 추가적으로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사업 부담금**을 납부해야 하며, 이는 사업장 규모에 따라 다릅니다.

5. 산재보험

산재보험은 근로자가 업무 중 발생한 사고나 질병에 대해 보상하는 보험으로, 전액 사업주가 부담합니다.

  • 보험료율: 업종별로 다름 (약 0.7%~18.6%)
  • 사업장 부담 비율: 100% (근로자 부담 없음)

6. 4대 보험료 총 부담액 계산

사업장의 4대 보험료 부담 비율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제와 함께 정리하겠습니다.

예제: 월 급여 300만 원일 경우

보험 종류총 보험료율사업장 부담액근로자 부담액
국민연금9%135,000원135,000원
건강보험7.09%106,350원106,350원
장기요양보험12.81% (건강보험료 기준)13,626원13,626원
고용보험1.55%27,000원20,250원
산재보험업종별 차이약 21,000원0원

마무리하며

사업장에서 4대 사회보험료를 적절히 납부하는 것은 법적 의무이며, 직원 복지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정확한 계산과 신고를 통해 불이익을 방지하고,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