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지원사업

북한이탈주민 주택알선 지원 - 대상, 혜택, 신청 방법

by 파워퍼플블로거 2025. 2. 14.

1. 북한이탈주민 주택알선 지원이란?

 

 

북한이탈주민 주택알선 지원은 남한에 정착하는 탈북민이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공공임대주택 제공, 전세·월세 지원, 임대 보증금 대출 등의 주거 지원을 제공하는 정부 정책입니다.

2. 지원 대상

 

 

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북한이탈주민은 주택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국내 거주 중인 북한이탈주민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법」 적용 대상자)
  • 주거 지원이 필요한 저소득층 북한이탈주민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으로 분류된 탈북민

※ 하나원 교육 수료 후, 일정 기간 내 신청해야 우선 지원 가능

3. 지원 내용

 

 

주택알선 지원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은 다음과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① 공공임대주택 우선 공급

탈북민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 SH(서울주택도시공사)의 임대주택을 우선 배정받을 수 있습니다.

  • 영구임대주택: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 대상
  • 국민임대주택: 소득 수준에 따라 월 임대료 부담 완화
  • 전세임대주택: 전세보증금을 정부가 지원하여 안정적 거주 가능

② 임대 보증금 지원

 

 

보증금이 부족한 경우, 임대보증금 무이자 대출이 가능합니다.

  • 1인 가구: 최대 2,200만 원
  • 2인 이상 가구: 최대 3,500만 원
  • 대출금 상환 기간: 최장 20년 (무이자 지원)

③ 주택 마련 지원금

자립을 위해 본인이 주택을 구입하거나 전세 계약을 할 경우, 주택 마련 자금(전세 또는 자가 구입) 지원이 제공됩니다.

④ 주거 환경 개선 및 긴급 주거 지원

 

 

열악한 주거 환경에 거주하는 탈북민에게 주택 개·보수 지원과 긴급 주거 지원(고시원, 임시 숙소 제공)이 가능합니다.

4. 신청 방법

북한이탈주민 주택 지원을 신청하려면 다음 절차를 따르면 됩니다.

  1. 준비 서류: 신분증, 북한이탈주민 등록 확인서, 소득 증빙 자료
  2. 신청 기관: 거주지 관할 하나센터, LH 및 SH 지사
  3. 대상자 심사: 소득 및 주거 환경 조사 후 지원 여부 결정
  4. 지원금 지급 및 입주: 선정 후 공공임대 배정 또는 보증금 지원

5. 추가 복지 혜택

 

 

주택 지원 외에도 다양한 정착 지원 프로그램이 운영됩니다.

  • 생활비 지원: 초기 정착 지원금 및 기초생활보장제도 연계
  • 취업 및 창업 지원: 일자리 연계, 창업 자금 대출
  • 교육 및 직업 훈련: 대학 등록금 지원 및 직업훈련 프로그램 제공

6. 지원 사례

 

 

북한이탈주민 주택 지원을 통해 안정적으로 정착한 사례를 소개합니다.

  • A씨(서울 거주): 국민임대주택 입주 후 월세 부담 완화
  • B씨(부산 거주): 전세임대 보증금 지원을 받아 자녀와 함께 정착
  • C씨(대전 거주): 주거 환경 개선 사업을 통해 열악한 환경에서 벗어남

7. 유의사항

 

 

  • 하나원 수료 후 일정 기간 내 신청해야 우선 지원 가능
  • 소득 수준에 따라 일부 지원이 제한될 수 있음
  • 공공임대주택 입주 후 주거급여 신청 가능

맺음말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주택알선 지원은 정착의 첫걸음입니다. 정부의 다양한 지원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마련하시길 바랍니다.